동해 삼척 바다와 해변

분류 전체보기 1017

장령지맥(대성산-옥천군 이원면)

* 산행 경로 : 옥천군 이원면 의평리 의평저수지-작은폭포-꼭지점4거리-641봉-대성산(정상)-다시 641봉-덕운봉-꼭지점4거리-큰폭포 이정표로 하산-절터-선바위-큰폭포-임도-돌의자 쉼터-의평저수지 장령지맥이란 : 식장지맥에서 분기하여 장령지맥 분기점을 출발하여 금성산을 거쳐 미륵재, 삽재, 닭이봉분기점(460m), 민재, 방화봉(585m), 국사봉(667.5m), 대성산(704.8m), 매봉600m), 장령산(655m), 도덕봉(407.3m), 함박산(250m), 퇴미산(249m), 돌남산(258.6m), 마성산(409.3m),이슬봉(454.9m), 참나무골산(422m)을 지나 장계관광지 앞의 금강에서 그 맥을 다하는 55.2km의 거리의 험한 산줄기를 장령지맥이라 한다. 그러나 필자는 위 순서대로 답..

장령지맥 2023.05.10

장령지맥(금성산- 금산군 금성면)

* 문장대 이종하가 2023년 5월9일(화)에 충남 금산군 금성면 하신리 뒷산에 존재하는 금성산을 답사하며 촬영한 사진을 올립니다. * 장령지맥이란 : 식장지맥에서 분기하여 장령지맥 분기점을 출발하여 금성산을 거쳐 미륵재, 삽재, 닭이봉분기점(460m), 민재, 방화봉(585m), 국사봉(667.5m), 대성산(704.8m), 매봉600m), 장령산(655m), 도덕봉(407.3m), 함박산(250m), 퇴미산(249m), 돌남산(258.6m), 마성산(409.3m),이슬봉(454.9m), 참나무골산(422m)을 지나 장계관광지 앞의 금강에서 그 맥을 다하는 55.2km의 거리의 험한 산줄기를 장령지맥이라 한다. 그러나 필자는 위 순서대로 답사하지 않고 중구난방식으로 이동했다. 맨먼저 이슬봉과 참나무골을..

장령지맥 2023.05.09

중2 세계사 1학기 중간고사 대비 중요 인물, 전쟁,사건

중2 세계사 1학기 중간고사 대비 중요 인물을 역사순서-교과서 순서대로 요약 올리니 활용하고 그사람에 대해 보충 공부 바랍니다. * 함무라비 -바빌로니아 왕국 유명 왕, 함무라비 법전, 동해보복법, 최초의 성문법, 눈에는 눈 귀에는 귀 * 다윗과 솔로몬-해브라이 왕국 인물 팔레스타인 지역 유대교 유일신 * 다리우스1세 -왕의길(사르디스-수사 2703km 도로 망) * 조로아스트-조로아스트교 만듬, 배화교(불을 숭상), 아베스트 경전, 기독교와 불교에 영향 * 솔론 -솔론법 (재산에 따른 참정권 부여) * 클레이스 에네스-도편 추방제 * 페리클레스 -여성 노예를 제외한 모든이의 참정권 부여 * 소피스트 -그리이스의 궤변론자 * 소클라테스-진리의 대상, 너자신을 알라, 대화법 * 소클라 테스-풀라톤-아리스토..

중2역사(세계사)요점과 예상문제

제1강 1. 문명의 발생과 고대세계의 형성 가. 역사의 의미와 학습목적 ------------------기록------------------ 선사시대 역사시대 ------------예수탄생일----------- 기원전=BC 기원후=AD * 역사의 의미 객관적 의미 (사실의 역사=실제 일어난 사건) - 임진왜란, 병자호란 주관적 의미 (기록의 역사=기록한 사람의 주관, 생각)-임진왜란은 비극, 병자호란도 비극 * 역사의 자료 : 유물(고려자기), 유적(궁궐터, 절터), 예)승정원일기,문서 * 역사를 배우는 목적 : 삶의 지혜와 교훈, 역사의 사고력, 비판력 향상, 여러나라 역사 문화 이해 (시험 중요) 나. 선사문화와 고대문명 * 인류의 기원 호모 뜻 -인간 동성연애 여기서는 인간 - 오스트랄로 피테큐스 ..

STX리조트 경서로 정상(문경시 쌍룡계곡)

STX리조트 뒤산 경서로 정상(문경시) 경북 문경시 농암면 내서1리 쌍룡계곡에는 규모가 다소 큰 STX리조트가 존재한다. 예약을 해야 숙박가능한 리조트인데 인근 주민을 위한 사우나 시설도 있다. 상주 문경 예천 주민들은 할인해 준다는데 아직 이용은 안했지만 우리가족은 몇년전에 이용하였다고 한다. 험하고 험한 악조건의 산속에 큰 공사로 리조트를 짖고 개업하여 전국의 수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온다니 신기하다. 이곳 면소재지 농암에 첫 발령을 받고 근무 할 때만해도 친구들이 유배생활한다고 나를 보고 불쌍한 눈으로 보던 곳인데 이곳에서 집사람을 알게되어 결혼하니 외가 친가 처가가 이곳 농암이 되었다. 외가는 농암면 사현리, 친가는 농암면 농암2리, 처가는 농암면 내서리이다. 20대 시절은 이곳 농암에서 보냈다. 직..

명산탐방 2023.04.28

상주가 고향인 경빈 박씨와 복성군 이미(李嵋)

* 중종(1488년-1544년)출생-사망, 1506년 18세에 조선 11대 왕 등극, 재위기간 1506년-1544년으로 38년 * 서론 부친인 성종때 부인인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윤씨를 죽인 사건, 숙종때 부인 장휘빈을 죽인사건과 닮은 중종의 부인 경빈 박씨를 죽인 사건이 있고, 영조때 아들인 사도세자를 죽인사건과 중종때 첫아들인 복성군을 죽인 기막힌 사건이 전개되는 중종임금 시 일어난 글입니다. 즉 경빈박씨와 복성군 사사 과정의 글입니다. 조선11대왕 중종의 정비는 사가에서 부터 살아온 단경왕후 신씨(7일간 왕비), 제1계비는 장경왕후 윤씨(12대 조선임금 인종의 어머니), 제2계비는 너무나 유명한 문정왕후(조선13대 임금 명종의 어머니)이다. 후궁은 경빈박씨, 희빈 홍씨, 창빈안씨(선조 임금의 아버지 ..

상주의 인물 2023.04.24

구봉 송익필

* 불운했던 천재 구봉 송익필 “율곡 이이를 아십니까?” 하고 물으면. 대부분 한국인들은 안다고 대답한다. 그러나 구봉 송익필”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런데 율곡 이이, 우계 성혼, 송강 정철, 토정 이지함 등 당대 최고의 학자들과깊은 우정을 나누며 학문을 논했을 뿐 아니라 오히려 그들이 스승 같은 벗으로 대하여존중했던 “구봉 송익필”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이지함의 수제자 고청으로부터 “ 살아있는 제갈공명”이라 극찬 받았고 단학계에서는 “조선 5백년 유교역사상 최고의 도인”이라 평하는 인물 그러나 타고난 멍에 때문에 자신의 능력을 펴보지 못했던 불운한 천재 송구봉. 많은 신비한 일화들을 남겼지만 정작 역사기록에선 잘 알려 지지 않은 인물 이율곡이 가르침을 구했던 송구봉 선생은 153..

상주의 인물 2023.04.21

옥성서원, 수선서당(상주시)

* 옥성서원 옥성서원은 1551년(명종 6)에 신숙주의 증손인 신잠(申潛)이 상주 목사로 부임하여 세운 18개의 서당 중의 하나인 수양서당(首陽書堂)이 그 모태이며, 1633년(인조 11)에 서원으로 승격되었다.1648년(인조 26) 수해로 옥성서원이 있던 서산이 무너져 서원이 묻혀버렸다.1710년(숙종 36) 현재의 자리인 외남면 신상리 진등 마루에 새롭게 건물을 지어서원을 복원하였다. 대원군의 훼철령으로 훼철되었으나 그 뒤 단소(壇所)를 설치, 계속 향사를 지내오다가 1977년 사림의 중론에 의해 복원되었다. 이서원은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득배(金得培)·신잠(申潛)·김범(金範)·이전(李㙉)·이준(李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고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을 위하여 창건하였다. 위의 지도는 외남면 ..

정여립과 기축옥사

조선시대 동인과 서인과의 당파 싸움에서 서인이 득세하게된 사건의 하나이다. 1589년에 일어난 정여립의 모반사건으로 일어난 기축옥사를 논하기 전에 정여립이 어떤 인물인지에 대하여 먼저 알아보아야 한다. 당시 조선에서 제일 잘난 미남이라고한 정여립 초상 * 출생 - 사망 : 1546년(명종 1) ~ 1589년(선조 22), 성장과정, 정치계 근무 과정, 낙향배경 정여립의 자는 인백, 본관은 동래, 출생은 전주, 경사와 제자백가에 능통 1570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 정여립의 태생 설화에서는 고려 중반 무신정변을 일으킨 주역 중 하나 정중부가 태몽에 나왔다는 이야기가 있다. 명석한 두뇌의 소유자어릴때 자기집의 여종이 자기의 잘못을 알렸다고 살해한 무서운 아이였다. 에는 정여립이 어린 시절부터 흉포하고 ..

채릉산(477m, 숭덕지맥)

* 문장대 이종하의 2023년 4월19일(수) 채릉산 등산 * 올랐던 경로 : 북장,백전 임도고개-300봉-숭덕지맥합류-전주이씨묘역-369봉-채릉산 * 하산경로 : 채릉산-369봉-서만,북장옛길-험한 경사 치고 하산-임도합류-북장,백전고개 * 아래 지도의 붉은선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오룩스 맵의 이동경로-하산시는 369봉에서 임도를 향해 치고 내려옴 * 등산내용 : 채릉산 등산은 숭덕지맥의 1개 산으로 북장, 백전 임도를 사이에두고 채릉산과 노음산이 존재한다. 노음산은 백전, 북장고개서 여러차례 올랐다. 오늘은 이곳 고개서 서편으로 올라 채릉산을 등산했다. 백전리 마을을 지나 임도를 따라 올라 백전, 북장고개에 도착하여 주차하고 고개 긴의자에서 잠시 쉬다가 서쪽 급경사를 치고 올랐다. 어제 단비가와서 ..

명산탐방 2023.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