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삼척 바다와 해변

백두대간 112

백두대간(댓재-두타산 왕복)

* 등산지 ▶ 백두대간(댓재-통골재-두타산 왕복) * 등산인 ▶ 문장대 이종하 혼자 * 등산일 ▶ 2022년 7월 3일(일) 부처님이 누워있다는 형상의 두타산. * 등산내용 ▶ 백두대간 북진 중 등산금지 구역을 제외한 몇곳의 답사를 보류하고 삼수령-구부시령을 답사한지가 3년이 지났다. 이런저런 이유로 백두대간 코스의 덕항산에서 진부령까지 미답지다. 물론 진부령과 설악산은 답사했지만 강원도 지역 백두대간 코스는 집에서 거리가 멀어지고 산들이 높아 연기된 곳이 많다. 사실 두타산과 같은 멋진산을 등산하지 못하여 마음한구석엔 허전함을 감출 수 없었다. 상주에서 삼척시 미로면 댓재까지 험한길을 혼자 운전해 가는것도 쉬운일이 아니다. 따라서 언젠가는 대구발-정동진행 야간열차로 이동하여 도계역이나 삼척역, 동해역에..

백두대간 2022.07.04

비조령-못재

* 등산지 ▶ 비조령-억시기 갈림길-못재 -690봉 - 못재-백두대간, 충북알프스 갈림길-동관음고개-비조령(백두대간,충북 알프스구간 일부) * 등산인 ▶ 문장대 이종하 혼자 * 등산일 ▶ 2020년 7월 15일(수) 오늘은 비조령에서 못재 근방 690봉(헬기장)까지 올라 뒤돌아와서 충북 알프스 등산로 따라 동관음고개로 하산함 하산 경로는 오르내림이 없고 동관음고개서는 임도가 있어 쉽게 하산함. 비조령에서 출발하여 우중이고 체력이 좋지 못하여 갈령3거리도 못가고 못재 위의 690봉 헬기장 지나 100미터 내려가다가 뒤돌아옴. 다시 못재에 도착하여 충북 알프스 이정표따라 동관음 고개로 내려갑니다. 위 오룩스맵 참조 2구간을 역으로 내려옴-우측 작은 글씨 장고개 위 동관음고개 참조 참고 사항입니다. 오늘 충북..

백두대간 2020.07.15

황계산, 황학산, 조봉, 갈미봉(문경)

* 등산지 : 황계산, 황학산, 조봉, 갈미봉(문경) * 처음에는 황계산만 답사하려고 했지만 컨디션이 좋아 4개의 산을 답사했다. 이화령-조봉표지석 구간은 몇년 전 답사했고 조봉에서 갈미봉까지는 미답지다. 이화령 더덕나라에서 갈미봉 갈림길까지는 몇년전 황학산 가느라고 이화령 더덕나라 판매장 임도에서 백두대간 길을 왕복하고 동행한분이 꽃버섯을 따는 횡재를 얻은 사연이 있다. 따라서 조봉 표지석은 2번째이고 항학산 표지석은 3번째 본다. 위의 흰선대로 이동해야하나 마지막에 좋은 임도를 두고 갈미봉에서 도로까지 심각한 알바로 고생함 위의 붉은선은 계곡 500미터 너들길의 알바한 길 오늘의 출발지 - 문경읍 각서1리 마을회관 각서1리 마을회관에서 이화령 방향으로 200미터 오르면 문경 한우 약돌 농가 등장 -맞..

백두대간 2020.04.12

백두대간(건의령-구부시령-예수원)

* 등산지 :백두대간(건의령-구부시령-예수원) * 등산일 : 2018년 9월 1일(토) * 등산인 : 문장대 혼자 본지역은 역사적으로 재미있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구간이다. 건의령 출발후 구부시령으로 화살표대로 가다가 구부시령에서 무리하지 않게 예수원 방향으로 하산-덕항산은 탐방 못함. 아쉽네요. 건의령 터널이 뚫리기전 옛길이 건의령 오르는 길이고 저기 전신주쪽으로 해서 넘어가는 길이 있었다. 건의령 고개에는 주민들이 제초작업을 하고 있다. 황무지를 밭으로 만들고 있다. 그 규모가 엄청 넓고 광활하다. 건의령은 고려말 공양왕이 시해되자 그를 따르던 신하들이 이곳에 와서 옷과 갓을 벗어놓고 산속으로 살아졌다는 곳이라해서 건의령이라고함. 한의령이라고도 합니다. 견의령에는 이정표도 있지만 등로 오른쪽에 이상한 ..

백두대간 2018.09.02

성삼재-노고단고개--임걸령-노루목-반야봉-삼도봉-화개재-토끼봉-명선봉-연하천대피소-삼각고지-형제봉-벽소령대피소-음정마을

* 등산지 : 성삼재-노고단고개- 돼지령-피아골3거리-임걸령-노루목=반야봉-삼도봉-화개재-토끼봉-명선봉-연하천대피소-삼각고지-형제봉-벽소령대피소-음정마을 ) * 등산일 : 2017년 10월31일-11월1일(1박2일) * 등산인 : 문장대혼자 * 기타사항 : 1박2일(연하 천대피소 숙박) 탐방거리- 총 25.8키로 ..

백두대간 2017.11.02

백두대간1구간(백무동-장터목대피소-천왕봉-장터목대피소-세석대피소-벽소령대피소-음정마을(1박2일

* 등산지 : 백두대간1구간(백무동-장터목대피소-천왕봉-장터목대피소-세석대피소-벽소령대피소-음정마을(1박2일) * 등산일 : 2017년 10월 11일-12일(수요일,목요일 1박2일) * 숙박지 : 지리산 세석대피소 * 등산인 : 문장대 혼자 * 참고사항 : 백두대간 진입거리=5.8키로미터. 백두대간 탈출거리=6.7키로. 백두대간 탐방거리=11.4키로미터. 총도보거리=22.6키로(장터목-천왕봉 왕복포함, 음정마을에서 차단기 제외로 순수 도보거리) 백두대간 탐방누계거리 = 478키로미터 정도. 산악인 엄홍길 대장을 영신봉 근방서 만난것이 행운이다. * 등산기 당뇨로 발목아래로 찌리고, 눈도 침침하며, 공복감을 자주느껴 삶의 불안과 당뇨합병증의 증가로 건강상태가 위협적이다. 당지수가 360으로 단골병원 의사가..

백두대간 2017.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