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삼척 바다와 해변

분류 전체보기 1018

돌티고개-464.4봉-용흥사(갑장산)

* 산행지 : 돌티고개-464.4봉-용흥사(갑장산) * 산행인 : 문장대 혼자 * 산행일 : 2017년 4월18일 오후 - 산행기- 등산기를 편집 하는 도중 갑자기 등산이 하고 싶어 사우나에서 아는분이 권해주는 돌티고개서 갑장산 가는 등산길이 좋다고 권해서 오후 2시에 집을 나셨다. 비가올까 말까하고 날이 안좋아 물2병과 과자만 준비해서 가벼운 복장으로 돌티고개에 도착했다. 돌티고개는 상주청리서 낙동 용포로 넘어가는 산골도로이다. 청상저수지, 묘원사, 수선사, 보현사가 있고 넘어에는 유명한 신라고찰 용흥사와 갑장사가 있다. 모두 갑장산 줄기이고 그 갑장산 아래사찰이다. . 작년 이맘때 돌티고개 주차하고 상주 주변산 기양산과 수선산을 등산한 바 있다. 고개 주차장에 1대의 차가 주차해있다. 갑장산으로 갔는..

백두기양갑장단맥( 수선산 - 기양산)

* 등산지 : 기양갑장단맥(돌티고개- 수선산 - 기양산 - 수선산- 밖이실) * 등산인 : 문장대 이종하 * 등산일 : 2019년 4월 12일(금) ■기양갑장단맥(岐陽甲帳短脈)은 기양지맥이 백두대간 국수봉 남쪽 청운봉에서 동남으로 분기(分岐)하여 흐르다가 백운산과 기양산을 지나 상주시 청리면·낙동면과 구미시 무을면의 삼면봉(三面峰)인 수선산(修善山, 683.6m)에서 북쪽으로 분기한 것이 기양갑장단맥이다. 이 단맥은 상주시 청리면과 낙동면의 경계를 따라 912번지방도로의 돌티로 내려선다. 이어서 갑장산(甲帳山)과 문필봉, 상산, 백원산, 식산, 병풍산 등을 일구고 난 후에 상주시 병성동 병성천이 낙동강을 만나 낙동강물이 되는 곳에서 그 숨을 다한다. 전체 길이는 약 19.5km가 된다. * 등산개요 기양..

백두소머리오봉단맥(벼랑박고개-살고개)

* 백두소머리오봉단맥(벼랑박고개-살고개) 문장대 이종하의 2024년 2월5일 답사지 * 이동지역 : 상주시 외서면사무소 우측을 지나는 지방도로로 외서복지관 지나 우측 오태리로 가는 지방도 외서1교-2차선 낮은 고개 공터 주차, 출발-가족묘지 돔식등장-190봉을 향해 빽빽한 능선진입-개고생하며 봉우리 도착-아래 모기장 같은 울타리 가족묘터-빽빽한 잡목가시길을 뚫고 간신히 190봉도착(3일전 도착한곳)- 백전리 입구 냇가 건너 축사로 하산 - 길이없어 축사와 주택으로 나감-좌측인 남쪽으로 살고개 도착(3일전 도착한곳) 살고개서 개천 강변따라 주차한 외서1교 고개 도착하여 절반 성공-주차를 조금 하동하고 븍쪽 봉우리 등장-묘지 투성이-2봉우리 도착-벼랑박고개로 하산-벼랑박 고개도착-애미회수를 위해 도로따라 외..

오봉산-벼랑박고개-덕산-천마산-공검지(상주)

* 등산내용: 상주시 외서면오봉산과 덕산-천마산 등을 답사하다보니 신경수 선생님의 리본을 자주보았다. 단맥 산행을 잘하시는 신선생님의 등산기를 읽어보니 이곳이 오봉단맥이라는 것을 늦게 알았다. 요새 이곳 단맥을 중간중간 다니고 있고 지난해와 몇년전에 멋모르고 다닌 덕산 - 서당골 구역과 천마산-제2연봉 - 막골로 해서 이어지고 양정리 공검지 앞 시냇가에 합수하여 그 맥을 다하는 백두소머리 오봉단맥을 등산기에 올립니다. 모든 등산인 들은 시작부터 마지막14km까지 하루걸려 단맥길을 종주하지만 필자는 체력부족으로 단맥을 여러번 걸쳐 다니고 여러곳을 나누어 다닌 등산길을 조합하여 전체그림과 사진을 검색하여 붙이기하여 단맥길을 꾸며보기로 한다. 단맥의 시작은 오봉산이다, 벼랑박고개-살고개거처 저수지방향 임도-봉..

서당골-천마산(상주시)

* 서당골-천마산(상주시)을 문장대 이종하가 또다시 답사. * 이동지역 : 상주시 외서면 개곡리 서당들마을회관-서당저수지-마지막임도-치고올라 능선-능선이동-고압선철탑-임도-천마산-다시 천마산 임도-좌측 동쪽 개곡리 임도 2km- 서당들 마을로회관-등산 마치고 상주자택 도착 서당들 개곡리 마을회관 주차하고 붉은선따라 흰 화살표따라 이동. 오늘 이동한 오룩스 흔적 오늘 만보가 통계 오룩스 통계 * 등산내용 : 어릴대 자주 오르던 고향의 천마산을 오늘도 올랐다. 산 높이도 알맞고 임도도 많으며 개곡리 서당들 마을회관에 주차하고 마을을 통과하여 서당저수지를 통과했다. 몇년전 덕산에서 천마산 쪽으로 오다가 산돼지도 만나고 체력도 염려되어 개사리 마을로 하산했다. 오늘은 천마산까지 능선 미답지도 답사하고 해마다 오..

백전리 입구 앞산-무명봉-이천리(상주시)

* 이동지역 : 상주시 외서면 백전리 백전교 백전리 입구 승강장-냇가 도착-시내건너 산아래 방천도착-무명봉200봉 도착-능선이동-오태저수지 가는 임도건넘-지루한 능선 이동-250봉 도착- 이천리 봉암마을 뒤 임도도착-이천리 봉암마을 정자와 마을회관 도착-봉암교 통과-도로도착-도로이동 말벌마을 승강장-살고개 승강장-백전마을 입구 승강장 원점 도착. * 백전리 입구 앞산-무명봉-이천리(상주시) 997번 도로로 세천에서 우산터널 가는 도중 백전리 입구 반대편 냇가 건너 여러 봉우리 이동-붉은선과 노랑 화살표 이동 오룩스 이동지도 오늘의 만보기 숫자 * 등산내용 : 필자는 어려서 부터 이들 산기슭로 외서면사무소에 다녔다. 고향 마을이다. 황새머리가 있는 곳에서는 이천리 아래 2봉우리 냇가옆이다. 동네 주민들이 ..

명산탐방 2024.02.02

국민보도연맹 이란?

* 6.25 전후로 수많은 대한민국 우리 국민이 무참하게 사망한 보도 연맹사건은 재판도 없이 경찰과 군인에게 트럭에 실려 산골짜기나 폐광 등에서 사살당했다. 30만명이라고 추정되는데 어떤 기록에는 5,000명 정도라고도한다. 이후 죽은 사람의 가족은 연좌제에 걸려 많은 불이익을 당하였다. 해방후 우리민족이 3천리 강토에서 만세를 부르면 나라를 찾았지만 남북으로 분단되고 전쟁이 일어나고 자기편이 아니라고 살상하고 남쪽을 해방한다고 남침하고 남침의 빌미를 제공한 애치선 라인 등, 좌익운동, 양반과 지주를 없에는 덜콤한 마르크스 주의는 당시로서는 달콤한 이론이었다. 왕과 양반 위주로 살아온 민족으로는 평민과 하층민에게는 달콤하여 양반으로 돈이 많아 배운 사람도 좌익을 선호했다. 그래서 남한에서도 남로당이 조직..

가마바위봉-쌀개바위봉-대전리 약수터

* 가마바위봉-쌀개바위봉-대전리 약수터를 2024년 1월 31 답사 * 이동지역 : 외서면 삼령로 새약수식당위-돌탑대문 앞 주차출발-도랑건너-비닐집-묘지-능선 진입-능선 지루하게 이동-위험바위지대 아슬아슬 통과-가마바위봉- 능선이동-쌀개바위봉 왕복-약수터 뒷산도착-철사로 등하산 표시-곳곳 입산금지표지판-바위약수터 도착-개천따라 돌탑문집 도착-차회수 귀가. 상주에서 우산터널 거쳐 독점 농장 지나면 새약수 식당 등장하고 조금 가면 돌탑으로 별장을 지은 곳에 주차하고 츨발 도착한 주변 앞산 이동그림이며 붉은선 따라 검은 화살표 대로 이동함-그제 다녀온 쌀개바위봉을 다녀오고 명품바위봉이 있는 바위 약수터로 철사를 따라 하산함. * 등산 내용 : 상주시 외서면 대전리 삼령로를 따라 차를 타고 가다보면 독점농장부터..

명산탐방 2024.01.31

대조영 발해 후예국 정안국(압록강 주변)

대조영이 새운 발해는 오랫동안 유지되다가 거란의 침입을 받아 망했다. 그러나 발해 유민들이 정안국을 건국했다. 정안국을 잘 모르는 분이 많아 올려봅니다. 그림으로 일단 소개하고 설명 *정안국-압록강 유역에 건국한 발해의 땅-푸른 부분 출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안국 수도 정치체제 국왕 : 압록강 유역 938년? ~ 976년?976년? ~ 986년? 언어-한국어와 여진어 사용 정안국(定安國, 938년 ~ 986년)은 발해의 귀족 출신인 열만화(烈萬華)가 938년 경 서경 압록부 지역에서 건국한 나라다. 열만화와 오현명, 2대에 걸쳐 48년간 지속되다가 986년 거란에게 멸망되었다. 언어는 중세 한국어 여진어 사용 정안국의 건국 정안국은 938년 경 열만화가 건국한 것으로 보고 있다.거란의..

구마이마을-쌀개바위봉(상주시)

* 이동지역 : 상주시 내서면 구마이 곶감 정보화 마을-구마이마을 정자와 느티나무-서만1교-종수네곶감 좌측 계곡-파라골임도 여골1차선-서만2길진입-중간 진양골 진입-우측 도골과 벼락박골 좌측 골짜기 건넘-청주한씨 문중묘 오름-묘지 끝나고 눈사람 바위-능선양쪽 소나무식수(산불이 몇년전 난곳)-바위와 낙엽길로 쌀개바위 도착-뒤돌아 오려다가 가마바위 위쪽으로 전진-산불로 인해 죽은 나무와 잡목가시가 빽빽-전진난관-쌀개바위봉 500m정도 오르니 가마바위는 또 다른 능선을 타야함-가마바위봉은 독점 농장에서 오르는 능선으로 가야함-가마바위는 너점고개서 답사한바있어 질기넘어골 능선으로 하산-왼쪽 묘지길 좋은곳 있는데 후회막심-전씨묘지-큰 벼락골하산 - 동갑내기 나무꾼 윤영주 주민과 10분간 담소-상주시내서 만나기로함..

명산탐방 2024.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