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삼척 바다와 해변

분류 전체보기 1018

김훈과 최질의 난-우리나라 최초의 무신의난

김훈과 최질의 난-고려 8대 현종시 - 최초 발생한 무신의 난(1014년) 2018. 3. 14. 7:00 여요(거란과 고려 전쟁) 2차 전쟁 이후 복구 작업에 열중했던 현종에게 심각한 고민거리가 있었습니다. 강조의 정변 때문에 현종이 즉위했기에 즉위 초반에는 강조를 비롯한 서경 군벌들에게 눈치를 봐야 했고 요나라와 2차 전쟁 후에는 전공을 세운 장병들에 대한 보상과 포상 문제가 걸림돌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전쟁 후였기에 복구하기에는 아직 시간이 필요했고 나라의 재정이 바닥난 상태였기 때문입니다. 이 와중에 한국사 최초 발생한 무신의 난이 발생하는데 이른바 김훈, 최질의 난이 그것입니다. 김훈, 최질의 난 재정이 바닥난 상황에서 문신, 무신 할 것 없이 신하들의 녹봉 주기에도 빠듯한 1014년이었습니다. ..

밤원체험마을 뒷산-상주시 내서면

* 등산일자와 등산인 : 2024년 1월27일(토요일) 문장대 이종하와 중학교 친구 정재익 2명. * 이동지역 : 서원보건지소-서원교-밤원체험마을주차장 출발-임도-밤원상곡뒷산치고오름-400m봉도착-능선이동-임도합류-희골, 예의리 여물마을 임도길 갈림길 중간-서원마을 하산-정화조 공장 도착-서원마을-밤원체험마을-주차장 도착. 상주시 내서면 서원마을 밤원체험마을 주차장에서 임도를 따라오르다가 능선으로 올라 400m봉까지 치고 올라 임도빙향으로 오름 오르다가 사냥개와 사냥꾼을 만남-위 붉은선과 노랑 화살표를 따라 이동하여 절반은 산 능선을 이동하고 절반은 희골 바람소리길로 이동하여 원점 회귀한 지도. * 등산내용 : 이번주는 혹한으로 영하의 날씨가 계속되어 등산은 커녕 북천 방천 운동도 못하고 집안에서 애꿎은..

명산탐방 2024.01.27

상주의 인물 -초대사회부장관 전진한

초대 사회부장관 전진한 분류 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 노동운동가 한국의 독립운동가 제3대 부통령 선거/후보 제헌 국회의원 제2대 국회의원 제3대 국회의원 제5대 민의원의원 제6대 국회의원 민정당 국회의원 신민당(1967년) 국회의원 한국독립당(1963년) 국회의원 민중당(1965년) 국회의원 제6대 대통령 선거/후보 상주시 출신 인물 문경 전씨 1901년 출생 1972년 사망 와세다대학 출신 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 국민훈장 무궁화장 중동고등학교 출신 사회부 장관 이승만 정부/인사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출신 인물 희귀성씨인 인물 대한민국 초대 사회부 장관 전진한 錢鎭漢 | Jeon Jin-han 출생 1901년 11월 5일 경상북도 함창군 현내면 오사리[6] (現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사리 214번지)[7]..

고령가야 고찰(상주시 함창읍)

김수로왕이 허황후와 건국한 가야국은 김해에 본거지를 두고 경상 남북도와 전라도 일부가 가야 땅이었고 그 세가 확장되면서 여러가야로 변하였고 마지막엔 경북 고령군에 대가야갸 유지되다가 신라에 합병되었다. 상주 함창에 존재하는 고령가야는 상주시 함창과 사벌국면 일대에 번성하여 3대의 왕이 상주 함창에서 고령가야로 칭하여 존속하다가 신라에 병합되었다, 상주의 고령고야와 고령군의 고령가야는 엄연히 다르다. 가야연맹을 구성하는 여섯 가야 가운데 하나로 낙동강 상류지역인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 문경 지역에 위치했다고 전해진다.《삼국유사(三國遺事)》와 《삼국사기(三國史記)》에서 가야연맹(伽倻聯盟)을 구성하는 육가야(六伽倻) 가운데 하나로 기록되어 전해지는 나라이다. 뚜렷한 유물이나 유적이 발견되지 않으며, 자세한 기..

병자호란 전후 시대상

인조 : 조선의 제16대 임금. 본명은 이종(李倧). 조선왕조의 네 번째 반정[7]인 인조반정으로 백부 광해군과 지지세력인 북인 일파를 대거 축출하여 왕위에 올랐다. 아버지는 선조와 후궁 인빈 김씨의 5남인 원종(정원군)이며, 어머니는 인헌왕후 구씨다.[8] 정원군의 장남으로, 능양군[9]으로 책봉되었다. 반정을 통한 인조의 집권은 실질적인 조선 제2 왕조의 창건 및 조선 왕조의 중시조로 평가된다.[10] 조선후기 300년 간 진행된 제도개혁의 논의는 인조 시대에 모두 시작되었으며, 왕통상으로도 인조 이후 즉위한 조선의 임금은 마지막 군주인 순종까지 모두 인조의 직계후손들이다. 혈통상으로 순종의 아버지 고종은 인조의 3남 인평대군의 직계 8대손이다.[11] 전술하듯 광해군은 물론 그 아들인 세자까지 장성..

인천채씨 -우담 채득기의 무우정(舞雩亭)1636, 상주 경천대

* 인천채씨 -우담 채득기의 무우정(舞雩亭)1636, 상주 경천대 경천대(무우정) 사벌국면 삼덕리 1-13(경천로 652) 1636년 무우정은 조선 중기의 학자인 무우 채득기(蔡得沂, 1604~1647)공의 정자이다. 조선 인조 때 1628년부터 은거하면서 충절과 북벌 의지를 다지며 공부하던 곳이다. 그는 여기서 학문을 연구하는 한편 가뭄이 심할 때에는 악공과 무희를 동원하여 음악과 춤을 추며 기우제를 지냈다고 한다. 무우정은 막돌로 기단을 쌓고 자연석 주초 위에 전면은 둥근 기둥이고, 후면은 사각 기둥이다. 합각지붕의 홑처마로 보수 당시는 가운데 칸과 전면 반 칸은 우물마루이고, 남(안)쪽은 방이었으나, 나중에 방은 헐어버렸다. 1748년 상주목사 이협이 중건하였고, 1948년 이를 보수하였으며 200..

상주의 인물 2024.01.25

상주의 인물 위암 장지연

張志淵(장지연) 1864년(고종 1) 11월 30일 ~ 1921년 10월 2일 상주시 인봉동 성동동 근처 에서 태어남 대한제국 때의 계몽운동가이자 언론인. 본관은 인동(仁同)[1], 자는 화명(和明)·순소(舜韶 또는 舜紹), 호는 위암(韋庵)·숭양산인(嵩陽山人). 본명은 장지윤(張志尹).1905년 [2]의 주필로서 을사조약을 규탄하는 사설 시일야방성대곡을 기고한 것으로 유명하다. 구한말에 애국 · 계몽 운동에 커다란 공적을 남겼으나 경술국치 이후 1914년부터 조선총독부 기관지 에 기고한 논설 730여 편이 문제가 되어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말년에 시베리아에서 의병 활동을 지휘했다는 일본 외무성의 문서가 2009년에 공개되었다. 위암 장지연(1864∼1921)은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

서애 류성룡의 후손 좌의정 류후조, 변호사 류영하

징역 22년의 유죄를 확정받고 수감 중이던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특별사면이 2021년 12월 31일 자정(0시)을 기해 단행됐다. 2017년 3월 구속된 이후 4년 9개월 만이다. 이 긴 수감 기간 중 정성을 다해 보필한 류영하(柳榮河) 변호사는 선대의 고향이 의성군 단밀면 생물리이다. 이곳은 한때 상주목 속현(屬縣)으로 서애 류성룡이 상주 목사로 재임할 때 점지해 두었던 땅이다.입향조 익위사세마(翊衛司洗馬)를 지낸 류단 (1580~1612)은 임란 극복에 앞장섰던 『징비록』의 저자 명재상 류성룡(柳成龍) 둘째 아들이다. 후사(後嗣)가 없어 사헌부 지평을 지낸 아우 류진(1582~1635)의 둘째 아들 백지(百之)를 양자로 삼으니 비록 단과 진 두 집안의 가계는 달라도 사실상 같은 핏줄이라고 할 수 ..

경북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 수암종택

에 가고싶다/대구.경북권국가지정 민속문화재가 된 상주 수암종택by 안천 조각환 2022. 9. 22. 상주 수암종택(尙州 修巖宗宅)은 서애 류성룡(1542∼1607)의 셋째 아들인 수암 류진(柳袗, 1582∼1635)을 불천위로 모시는 풍산유씨 우천파(愚川派) 종택이다. 상주 중동면에 있는 이곳은 속리산, 팔공산, 일월산의 지맥이 모이고, 낙동강과 위천이 합류하는 삼산이수(三山二水)의 명당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2022년 8월 22일 문화재청에서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하였다. 수암종택 전경 류진(柳袗, 1582∼1635)의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계화(季華), 호는 수암(修巖)이다. 임진왜란 뒤 아버지에게서 글을 배우고 1610년(광해군 2)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1623년(인조 1) 학행으로 천거되어..

구암지맥일부-593.3무명봉(청송군 현동)

청송을 집사람과 큰딸 3사람이 현동 도평리에서 손녀가 의료봉사하는 구경을 하니 대견스럽다. 멋진 식사를 딸이 예약하여 진수성찬을 잘먹고 귀가길에 구암지맥의 중요지점인 삼자현에서 잠시 쉬는동안 분기점 방향-구암산 쪽으로 가다가 593,3봉만 다녀왔다. 오늘이 대한 절기 인데 비가와서 산행을 조금해서 너무 안타가웠다, 그저 구암지맥 맛만 보았다. 주왕산 톨게이트 아래 유명한 한식집에서 식사를학고 당진 영덕 고속도로로 진입하여 의성휴게소에서 잠시 쉬다가 상주자택에 도착했다. 대구 큰딸이 부모에게 효도를 하네요. 오늘은 의료 견학, 산행, 고급음식섭취, 상주-청송 고속도로 드라이브 등 여러가지 경험을 했다. 청송군 현동면 도평초등에서 의료봉사하는 손녀를 보고 귀가하다가 잠간 다녀온 삼자현고개와 첫봉우리 593...

명산탐방 2024.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