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삼척 바다와 해변

분류 전체보기 1017

비봉산(상주)

* 등산지 ▶ 상주보 - 비봉산- 회상나루고개-220봉 -경천교-강변길-학전망대 * 등산인 ▶ 문장대 이종하 혼자 * 등산일 ▶ 2020년 12월 26일(토), 12월 28일(월) 추가산행 * 등산개요 ▶ 며칠전 비봉산과 청룡사를 답사했다. 하지만 회상나루쪽의 동물 이동통로를 지나 220봉 무명봉을 미답사 하여 아쉽게 생각하던 중 오늘은 날이 조금 풀려 상주 자택을 출발하여 상주보로 출발했다. 상주보에 잠시후 도착하고, 주차하니 수많은 싸이클 팀들이 강변을 질주하고 있고 몇 몇 등산인들이 비봉산 오르는 멋진 등산로를 오고간다. 날도 좋고 경치도 좋으며 컨디션도 좋아 나역시 가벼운 비봉산 산행을 시도했고 비봉산에 올라 정상의 지상천국의 경치를 구경하고 회상나루 위 동물 이동통로를 이동하여 단숨에 동봉을 다..

명산탐방 2020.12.27

인물 탐구 ▶ 식산 이만부 선생님

인물 탐구 ▶ 식산 이만부 선생님 * 서론 조선 중기 숙종때(1664년-1732년) 서울에서 출생한 식산 선생은 당쟁에 휘말리는 조부와 부친의 어려움을 목격하고 일찍 과거를 포기하고 학문에 전념하며 부친을 따라 평안도, 함경도에서 살다가 경상도 상주땅을 택하여 한평생 살다가신 학자이다. 정철, 윤선도, 이이, 이퇴계 등의 유명한 학자들에 버금가는 분이 식산 이만부 선생님이라고 생각된다. 상주 태생이 아니면서 상주를 사랑하고 많은 책을 저술하고 학문을 연구하며 살아가신 선생님의 흔적을 소개하고자한다. 상주에 살면서 평소 궁금했던 사실은 이곳에는 역사의 인물이 없었다는 점이었다. 학창시절, 청년시절, 직장시절에 역사를 무척 좋아했으며 퇴직후 등산과 상주의 역사적 유적지를 답사하며 노후를 지내고 있다. 그러다..

상주의 인물 2020.12.25

경천섬 주차장-현수교-비봉산(상주시 중동면)-청룡사-회상나루

* 등산지 ▶ 비봉산(상주시 중동면) * 등산인 ▶ 문장대 이종하와 친구 2명 * 등산일 ▶ 2020년 12월 19일(토) * 등산개요 ▶ 어제(12월18일) 한남금북정맥의 쌍암재-추정재 구간을 등산하려고 법주리 새터고개까지 갔다가 예상 못한 폭설로 등산을 포기하고 꽁공 얼은 내북면 일대의 도로를 간신히 탈출하여 보은을 거쳐 상주 자택에 귀가했다. 실망하고 하루를 허무하게 보내고 말았다. 계획된 등산일정과 신체의 흐름이 중단되어 힘들어 하던 중 반갑게도 중학교 친구가 상주 근교의 경천대 국민관광지 일대인 비봉산과 그 주변의 여러 명소를 답사하자고 연락이 왔다. 흔쾌히 동의하고 경천섬 주차장에 오전 10시에 만나자고 했다. 어제 대구사는 외손녀의 숙제로 경천대 일대의 사진이 필요하다고 해서 일찍 도착하여 ..

명산탐방 2020.12.19

한남금북정맥(시루산, 구봉산-충북 보은)

* 등산지 ▶한남금북정맥(중티리 마을회관-중티재-시루산-구봉산-벼재고개) * 등산인 ▶문장대 이종하 혼자 * 등산일 ▶ 2020년 12월 14일(월) * 등산개요 ▶3일전 한남금북 정맥의 작은구티재를 출발하여 잘 이동하다가 체력미달로 중티재로 하산-탈출했다. 오늘은 보은군 산외면 중티리 마을회관 앞에 주차하고 중티재를 올라 정맥길을 이동했다. 돌탑봉 전 지렁이신을 모신 성황당을 지나니 금방 돌탑봉이다. 이후 시루산-무인산불초소-구봉산을 차례로 답사하고 지루한 길을 오르내리니 도랑이재가 등장한다. 이후 마지막 봉을 오르니 인동장씨 묘지이다. 우측으로 내려가다가 직진을 계속해야하는데 좌측으로 희미한 길이 보여 가시잡목을 헤치며 내려가니 알바였다. 추운날 눈길을 잘 이동하다가 방심하여 일찍 껶어 힘든길로 멋모..

한남금북정맥 2020.12.14

광대수산(보은)

* 등산지 ▶ 한남금북정맥(백석리 고개-광대수산-수철령 왕복) * 등산인 ▶ 문장대 이종하 혼자 * 등산일 ▶ 2020년 12월 6일(일) * 등산개요 ▶ 3일전 말티재에서 출발하여 광대수산거쳐 한남금북정맥의 일부인 백석리고개까지 답사하고자 했으나 체력난조와 늦게 출발한 사유로 수철령에서 지척인 북암리 무수골로 탈출하였다. 수출령에서 구룡저수지나 독가촌이 있는 북암리 북암소류지 방향은 임도가 아주가깝고 동학순레길이라 하산로도 좋아 큰고생은 없었다. 오늘은 미답지인 수철령-광대수산-백석리 고개를 다녀왔는데 돌아올때 무명봉에서 쉬고 있을때 휴대폰의 메세지로 친한 친구의 부음을 보고 혼비백산하여 광대수산 오르기 전 가장 낮은 안부가 있고 마침 산판지대의 나무운반 트럭길이 있는 곳이 보여 그곳으로 편히 하산했다..

한남금북정맥 2020.12.07

말티재-수철령

* 등산지 ▶ 한남금북정맥(말티고개-새목이재-구룡치-수철령-북암리 탈출) * 등산인 ▶ 문장대 이종하 혼자 * 등산일 ▶ 2020년 11월 3일(목) 붉은선 등산로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처음 가는 분을 위해 들머리 소개 - 말티고개에서는 한남금북정맥 북서 방향 들머리에 이정표가 없어 당황합니다. 보은성 카페위 동물이동통로로가서 큰돌무지 방향으로 오르거나 장승과 화장실 있는 높은 주차장에서 계단타고 오르면 비석이 있는데 그뒤로 치고 올라도 됩니다. 아니면 30미터 우측으로 가면 무인전자광고판이 등장하는데 그뒤로 급경사를 치고 오릅니다. 무인광고판에서는 마이크로 무슨 경고 말을 합니다. 장승 주차장에서 농산물 판매장 3곳 지나 20미터거리 파랑 무인 광고탑뒤로 치고 오르는 들머리 갈색 모래시계 같은 조형뒤..

한남금북정맥 2020.12.04

정이품송-삼가저수지

* 여행지(불목이재 옛길 산책길) ▶ 충북 보은 정이품송-새목이재(상판저수지)-불목이재-삼가 저수지(비룡저수지) * 여행인 ▶ 문장대 이종하 혼자 * 여행일 ▶ 2020년 11월 28일(토), 30일(월) 몇 달 전 한남금북정맥을 답사하는 중 천왕봉에서 20개의 크고 작은 봉우리 들을 거쳐 내려오던 중 알바로 635봉-638봉에서 상판저수지로 엉뚱하게 탈출하여 불목이재까지 미답지가 되었다. 이번에 638봉에서 불목이재 미답지를 답사하면서 불목이재 옛길을 발견했다. 이 옛길은 삼가리에서 상판리로 이어지는 길로서 선조들이 많이 다니던 길이다. 총거리가 5키로 미터 정도이지만 큰 산이 없는 관계로 아마도 선조들이 서원리쪽에서도 삼가리 거쳐 속리산면으로 많이 왕래했으리라 짐작된다. 보은군에서는 불목이재 옛길에 ..

여행 이야기 2020.11.30

불목이재 옛길(충북 보은)

* 등산지 ▶ 삼가저수지 불목이재 입구 - 불목이재 옛길-한남금북정맥(불목이재 - 638봉) - 도화리 * 등산인 ▶ 문장대 이종하 혼자 * 등산일 ▶ 2020년 11월 27일(금) * 등산개요 ▶ 몇달전 속리산 천왕봉을 상주시 화북면 장각동 장각폭포에서 출발하여 3번째로 답사했다. 기왕 올랐으니 많은 등산인들이 한남금북정맥을 천왕봉에서 시작하므로 필자도 과감히 정맥길 따라 하산했다. 하산중 무려 20여개의 봉우리를 지나왔는데 불목이재 전 635봉, 638봉을 지나자 좌측으로 하산해야 하는데 곧장 올라서 상판저수지 방향 뒷 봉우리로 직진하여 대형 알바를 하고 말았다. 따라서 635봉과 638봉과 불목이재 - 갈목재를 본의 아니게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미답지가 되었다. 오늘은 미답지인 불목이재-638-63..

명산탐방 2020.11.27

말티고개

* 등산지 ▶ 한남금북정맥 ( 말티재-서원봉-갈목재) * 등산인 ▶ 문장대 이종하 혼자 * 등산일 ▶ 2020년 11월 23일(월) * 등산개요 ▶ 한남금북정맥 탐방을 몇달전 시도하여 천왕봉에서 갈목재 방향으로 잘 내려 오다가 635봉 근처서 알바하여 불목이재 등을 답사하지 못했다. 못내 아쉽지만 체력 난조와 정보 부족으로 어쩔도리가 없다. 더구나 혼자 산행하므로 알바를 밥먹듯 한다. 잠시 미루다가 오늘은 말티재에서 역으로 서원봉-갈목재 방향으로 답사했다. 초장부터 알바하고 화엄이재에서 2번째 알바했다. 서원봉에 도착하여 식사하고 하산하며 또 불안해하다가 지도를 잘보고 내려와 급강하하는 등산로를 극복하며 갈목재 옛도로에 도착했다. 불목이재로 더 오르려고 하다가 포기하고 도로따라 걸어서 말티재에 원점도착했..

명산탐방 2020.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