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삼척 바다와 해변

분류 전체보기 1017

청송군 명소 관광

* 여행지 ▶ 청송유명 관광지(청송 야송 미술관, 신촌약수터, 객주문학관, 소노벨리, 청송솔빛정원, 심수관도자기 전시관, 백자전시관, 청송군립 꽃돌전시관, 송소고택) * 여행인 ▶ 문장대 이종하와 집사람, 딸, 작은아들 4명 * 여행일 ▶ 2022년 6월 17일(금)-18일(토) 2일간 * 여행 내용 ▶ 지난달 집사람의 칠순잔치를 상주 상감한우에서 가족들과 간단하게 치루었으나 좀 미진한 생각이 들었는지 대구사는 큰딸이 청송군의 유명한 소노벨리(구 대명리조트)에 숙소를 예약하여 가족의 일부가 참석하여 2일동안 청송의 유명 관광지를 두루 답사했다. 청송하면 주왕산 관광지를 생각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청송에는 유명 관광지가 무척 많은 곳이다. 대구에 사는 딸과 이들이 금요일 오후에 상주에 사는 우리부부를 태워..

여행 이야기 2022.06.18

경북 달성군 명소 답사

* 여행지 ▶ 달성군의 명승지-송해공원, 이찬원 관련 명소, 용연사, 박근혜 전대통령사저, 유가사, 비슬산(대견봉), 대견사, 도동서원, 옥포초등 * 여행인 ▶ 문장대 이종하와 집사람, 딸(3명) * 여행일 ▶ 2022년 6월1일(수) * 여행내용 ▶ 오늘은 우리나라 지방선거 날이다. 대통령을 뽑고 나서 얼마 안되어 지방 선거를 실시하니 올해는 1월부터 5월말까지 매일 선거운동과 방송에서 선거에 관한 이야기가 매일 쏟아진다. 선거를 이렇게 해야하는 생각이 많이 든다.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원이라고 주장하니 할말이 없다. 그러나 많은 사건으로 국력이 소모되는 것은 틀림없다. 뉴스에 항상 상대방의 허점을 발표하고 해명하고 고소하고 방어하는 방송이 연일 계속된다. 골치 아픈 선거이지만 아침 일찍 국민의 한사람으..

칠순 이야기

* 행사명 ▶ 집사람의 칠순행사 * 행사일 ▶ 2022년 5월 28일(토) * 장 소 ▶ 상주시 상감한우 특실 순수한 처녀시절 20대 초반의 집사람 모습 * 행사내용 및 사진 ▶ 1953년도 5월 24일(음) 경북 문경시 농암면 내서리 속리들 마을에서 태어난 집사람은 나와 결혼 할 때까지 그곳에서 성장하였다. 엄격한 부모 밑에서 처녀시절까지 고향집에서 내내 살아오다가 청암중고에 부임받은 나와 인연이 되어 부부의 연을 맺어 살아왔다. 성격은 온순하고 용모 단정하여 신부로서의 자질을 갖추었고 70년대 부터 교직의 보수가 박봉이라 넉넉지 못하여 어렵고 힘든 생활을 견디며 살아왔다. 내가 70년대 중반에 한때 실직하여 잠시 서울에서 세일즈 맨으로 어려운 생활을 하는데도 집사람은 기죽지 않고 굳은 의지와 참을성을..

화왕산(경남 창녕 757.7m-100대 명산)

* 등산지 ▶ 화왕산(100대명산-군립공원) * 등산인 ▶ 문장대 이종하와 작은아들 * 등산일 ▶ 2022년 5월 25일(수) 위의 지도들은 차례로 네이브 위성지도, 오룩스 맵, 삼성만보기에 나타난 경로를 올려보았습니다. * 등산내용 ▶ 화왕산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소재하는 100대 명산이고 군립공원이며 화왕산성이 존재한다. 화왕산성은 거의 억새 군락지이며 동문과 서문이 뚜렷하며 용지라고 명명되는 사각형의 샘이 존재한다. 임진왜란때는 홍의장군 곽재우 선생님이 의병을 일으키고 이곳에서 일본군과 맞서 싸운 요새이다. 대구와 부산은 물론 전국의 많은 등산인들이 등산하는 100대 명산이다. 등산 후 유명한 부곡온천에서 온천욕을 해도 좋고 주변에 우포 늪 주남저수지 등이 있어 관광지로도 좋은 곳이다. 이곳은 고려말..

100대 명산 2022.05.25

상주 상도촬영지(회상나루)

* 여행지 ▶ 상주 상도 촬영지(회상나루터) * 여행인 ▶ 문장대 가족 * 여행일 ▶ 2022년 5월 5일(목) * 여행내용 ▶ 근래 등산을 1개월간 못 다녔다. 지난해 연말과 올해초부터 상주 주변의 천봉산, 황골산, 노음산 3산을 능선마다 오르내리다가 산돼지를 2번이나 만나고 가시 잡목에 온몸이 상처투성이다. 길이 없는 지능선을 도로에서 출발하여 주능선에 도착하고 3개의 산들을 사방 팔방에서 오르내려 산길을 개척한 셈이다. 물론 산아래 주민들이 옛부터 산채채취나 나무를 하러 다닌 길의 흔적은 있으나 진달래, 청미래, 아카시아, 오가피나무, 산초나무 등이 등산로에 번성하여 능선길이 많이 없어져 오르내리기가 무척 힘들었으나 맑은 공기와 후답자에게 등산길을 개척한다고 생각하며 오르내려 3개산의 등산을 거미줄..

여행 이야기 2022.05.05

자산마을-자산-테크전망대(상주)

상주 3악의 하나인 석악이라고도 하는 천봉산에는 자산봉과 묘봉이 있고 유적으로는 북천전적지, 자산산성, 하곡서당, 영암각 등이 있다. 하곡서당은 연원동 끝마을인 봉강-연원고개인 물넘어 고개 200m전 우측에 존재한다. 아끼넘어 고개지나 황골산도 천봉산의 한봉우리라고 생각된다. 서울의 한강이 젖줄이라면 상주의 북천은 규모는 작지만 한강과 같은 역할을 한다. 북천은 뒷내라고도 하는데 상주주민들의 좋은 도보 산책길이기도 하다. 북천에는 침천정과 영빈관이 존재하였다. 부원리에는 가문이라는 명칭도 있으니 역사의 장소다. 죽전리에는 정승을 역임한 숙종시대의 김자점이 살았다고 한다. 임진왜란때는 상주 전투에서 싸워보지도 못하고 목숨을 지키기 위해 머리를 풀어 헤치고 말타고 북천을 건너 도망가던 전투 책임자 이일 장군..

명산탐방 2022.04.12

북장리 - 국수봉

* 등산지 ▶ 북장리-마을회관-홍촌마을-330봉-400봉-국수봉(상주시 내서면) * 등산인 ▶ 문장대 이종하 혼자 * 등산일 ▶ 2022년 4월 3일(일) * 등산내용 ▶ 어제에 이어 오늘도 국수봉을 답사했다. 오늘은 북장리 입구에서 300m 지난 정자가 집안에 있는 곳이며 북장 승강장 옆 다리 근방에 주차하고 느티나무가 있는 홍촌마을로 걸어서 들어갔다. 차로 지입해도 되지만 홍촌마을 곳곳을 구경하기 위해 도보로 걸어갔다. 느티나무 지나 우측 농로로 들어가니 전나무 숲이 있어 그 숲으로 치고 들어갔다. 홍촌마을을 중간에 두고 내서면사무소 쪽에서 오르는 능선과 합류되는 330봉을 행했다. 3년전에 내서면사무소 근방 호산나 수양관에서 국수봉-노음산 능선을 따라 오른 바 있다. 이곳 역시 묘지길과 오래된 등산..

명산탐방 2022.04.02

백전1리-노음산(노악산) 능선 등산

☞ 상주의 명산인 노음산 주능선과 지능선을 등산후 소개합니다. ☞ 파랑선은 주능선입니다. 노랑선은 도로이거나 임도입니다. ☞ 아래 지도는 지난 3개월 답사한 곳을 흑색, 적색, 청색으로 표시했습니다. 노음산(노악산)은 위와 같이 여러 능선으로 오르고 지능선에서 주능선이나 여러 능선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위의 주능선(파랑)과 보조능선(적색) 지능선(흑색)은 문장대 이종하가 3개월을 소요하며 직접 오른 등산로이며 산돼지를 2번 정도 만나기도 했습니다. --------------------------------------------------------- 경북 상주시 외서면 백전1리 잣밭마을 마을회관에 주차하고 마을 중앙을 통해 끝까지 올라 수레길과 지따라 올라 주능선에 도착하고 계속 남으로 이동하여 54..

명산탐방 2022.03.29

백전,북장고개-서북능선-노음산(725.5m)

* 등산지 ▶ 백전 2리-북장리 임도 고개-노음산 서북능선 등산로-노음산(725.5m) * 등산인 ▶ 문장대 이종하 혼자 * 등산일 ▶ 2022년 3월 17일(목) 우중 산행 * 등산 내용 ▶ 상주 3악의 하나이고 명산이 노음산은 노악산이라고도 한다. 며칠 후면 충남 공주의 계룡산을 등산하려고 하는데 산높이가 비슷한 노음산을 답사하여 계룡산 등산에 알맞은 체력을 준비하고 보충하고자 한다. 지난 3개월간 집주변 야산과 북천의 방천길을 답사했다. 날씨가 추워서 큰산을 가기가 쉽지않고 언전을 기하기 위함이다. 올해 2022년도 3월도 중순이 지나 그동안 오르지 못한 노음산 서북 등산로를 답사하기로 했다. 이곳은 천봉산-노음산-채릉산을 연계하여 답사하는 전문 등산인이 다니는 곳이다. 내서면 북장리와 외서면 백전..

명산탐방 2022.03.17

울산오씨의 연원과 상주 봉강리 학성사

상주시내-세천-봉강1리-봉강2리 별표 지점이 학성사인데 도로 바로 옆 종친회장 오병욱 님이 작성한 울산오씨의 연원과 정간 오식 선생님의 여러 자료를 올립니다. 1, 서 문(序文) 2, 정간(靖簡) 식( 湜)공의 관향(貫鄕) 가 ,울산오씨(蔚山吳氏)의 연원(淵源) 나, 관향(貫鄕)의 연혁(沿革) 3 ,정간(靖簡) 식( 湜)공의 상계(上系) 4 정간(靖簡) 식(湜)공의 일대기(一代記) 5 정간(靖簡) 식(湜)공의치적(治績) 가, 제도개선(制度 改善) 1)세제(稅制)의 설정(設定) 2) 합리적(合理的)인 행정구역(行政區域) 개편(改編) 나, 왜적침략(倭賊侵略)의 격퇴(擊退) 다, 외교활동(外交活動) 라, 귀감(龜鑑)의 청백리(淸白吏) 6, 정간(靖簡) 식(湜)공의 추모행사(追慕行事) 7, 실정(失政)에 의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