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삼척 바다와 해변

역사 등 좋은글 97

영주시 순흥과 이보흠 (조선 세조시대 순흥부사)

이글의 근거지인 경북 영주시 순흥면의 위치를 아래와 같이 소개합니다. 경북 영주시 순흥면은 조선시대에는 순흥도호부로서 큰 고을이었다. 역모, 강상 사건, 일제시대 행정개편으로 영주시의 1개면으로 격하된 면소지로 변모했으나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이 존재하고 순흥안씨의 본거지-세거지이다. 조선 세조때 순흥에 유배를 온 금성대군(세종임금의 6째 아들)단종복위 운동을 하다가 사전에 금성대군의 여종과 순흥도후부 급창이 금성대군의 단종복위 운동 격문을 훔쳐서 달아나다가 풍기현감이 격문을빼앗아 세조에게 고변하였다. 이사건으로 금성대군은 거사에 실패하여 사사당하고 이보흠은 참살당한다. 그리고 순흥은 역적의 고장이라 순흥부로 격이 내려간 고을이 되었고 이 정축지변으로 조선시대에는 안당, 안겸 등 이외에는 큰..

호랑이 선생님

호쌤의 남동생 우리 집 장남 ​ 소싯적 인물과 몸매, 그리고 축구실력으로 뭇 여성들을 울렸건만!! ​ 나이앞에 장사없다. 배가...ㅋㅋ ​ 열정적 대디로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 몸사리지 않는 남동생 ​ 학교운영위원 지역봉사단체 등 애들한테 도움되는 건 다 한다. ​ 오늘은 ​ 제자리뛰기 체육실기를 준비하는 딸을 위해 몸소 시범! ​ ㅋㅋ 근데 2년전보다 탄력이 떨어져보이네. ​ 자식은 부모의 거울이라는데 저런 열정적 아빠가 있으니 뭘 걱정할까? ​ 잘 될 집안이다. ​ 예전에는 엄마가 주 양육자였지만 이제는 아빠 파워가 점점 커진다. ​ 아빠랑 대화가 많은 애들은 또 다른 발전을 보인다. ​ 좀 더 넓은 시각, 여성의 섬세함과는 다른 대범함, 사회적 현상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스포츠에 대한 지식도 해박해진..

팔도 감사 반석평(조선시대 중종)

우리나라에는 8도 감사를 역임한 사람은 2명이라고 한다. 1분은 조선시대 초 태조임금 당시의 함부림이고 또 1분은 조선시대 중종 임금시의 반석평 님이다. 이중에도 반석평 선생님은 8도감사는 물론 5도 병사도 역임했다고 한다. 오늘은 반석평 선생님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합니다. 충북 음성군 원남면에 있는 반석충 묘역과 사진(아래) 반석평 선생님 초상화 ♣ 조선 중종시대 문신 반석평 선생님 - 출생, 사망, 성장환경, 출세과정 : 1472년-1540년 이고 자는 공문(公文), 호는 송애(松厓)이며, 시호는 장절(壯節)이다. 그의 형 반석정은 생원시에, 동생 반석권은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조선시대 역대 감사중 8도 감사를 모두 역임한 사람은 태조때 함부림과 중종때 반석평이라고 한다. 반석평 선생님은 거제 반씨에..

보진재 노사신 선생님(조선 전기 영의정)

보진재 노사신 선생님과 소재 노수신 선생님 고찰 * 노사신 선생님 본관은 파주 교하 노씨, 출생, 사망 연대 1427년-1498년,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예종, 성종, 연산군 임금시대 사람이고 세조때 많이 활동한 정치가. 노태우 전대통령도 교하 노씨 * 노수신 선생님 본관은 광주(광산) 노씨, 출생, 사망 연대 1515년-1590년 중종10년-선조23년이고 유배생활을 20년 이상하고 말년에 영의정까지 역임했지만 마지막에 정여립의 기축옥사에 연루되어 탄핵되고 곧 병사함. * 노씨 성은 같지만 본관이 다른 분인데 노사신이 선배정치가입니다. 중종과 선조때 문신 소재 노수신과 이름이 비슷하여 많은 분들이 혼란을 격고있어 보진재 노사신 선생님의 자료를 올립니다. 사실 노사신 선생님이 노수신 선생님보다 88..

오천대감 이종성 일화(조선 영조시대)

* 조선후기 영조때 문신인 이종성 대감의 일화를 재차 올립니다. 이종성(李宗城.1692.숙종 18∼1759.영조 35) 조선 영조때 영의정을 지낸 이종성 대감 초상화 조선 영조 때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고(子固), 호는 오천(梧川). 시호는 효강(孝剛), 뒤에 문충(文忠)으로 개시(改諡)되었다. 항복(恒福)의 5세손이며, 좌의정 태좌(台佐)의 아들. 어려서부터 성리학(性理學)에 힘을 기울였으며, 1711년(숙종 37)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1746년(영조 23) 문과에 급제, 삼사(三司)를 거쳐 홍문관 전한(典翰)으로 국가 재정을 충족케 하여 삼남(三南)의 인심을 수습하는 것이 서북 변경을 튼튼케 하는 대책이라고 진언했다. 왕에게 가납(嘉納)되어 관서암행어사(關西暗行御史)로 내려가 군제..

난계 김득배 장군 고찰(상주-문경)

난계 김득배 : 1312-1362 고려 공민왕때 충신인 김득배 선생님은 문신이자 무신이다. 난계라는 호는 세종때 충북 영동 심천 출신인 박연 이라는 음악가도 난계의 호를 사용했지만 고려 공민왕때 상주의 김득배 장군도 난계의 호를 사용했다. 상주는 오래된 역사도시로 유명한 인사가 많이 배출 되었지만 고려말 홍건적의 침입시 이를 물리친 공적이 있는 분이 김득배 장군이다. 난계 선생님은 당시 유명한 이성계, 이방실, 김어진, 안우, 정세운 등이 합심하여 홍건적을 물리쳐 나라에 큰공을 새운 분이다. 그러나 간신 김용의 흉계로 억울하게 처형 당했다. 제자로는 유명한 정몽주, 임박 등이 있는데 정몽주에 의해 억울한 죽음이라는 것을 밝히게 되었다. 만고충신이면서도 억울한 죽음을 당한 김득배 장군에 대한 자료는 다음과..

의순공주(본명 이애숙)-조선 효종의 양녀

후금을 건국한 태조 누루하치의 아들 태종 홍타이지는 동생 도르곤이 전쟁터에 가는 곳마다 승리한 덕택에 후금을 강국으로 만들었고 이후 청나라로 개명하였고 홍타이지가 죽고 나이어린 아들이 3대황으로 등극했다. 그의 아들 순치제 때는 도르곤의 노력으로 명나라를 멸망시켰다. 당시 명나라는 이자승이 반란을 일으켰고 산해관을 지키는 명나라 장수 오삼개는 도르곤과 힘을 합하여 이자승의 반란을 진압했다. 어머니를 잃은 도르곤은 초년 시절은 불행했다. 부친인 누루하치의 총애를 받은 도르곤의 어머니를 홍타이지는 자기 어머니에게 해가 되었던 것으로 생각하고 순장시키는 악행을 행하였다. 그러나 도르곤은 어릴때부터 어려움을 극복하여 전쟁에 참가하여 가는곳마다 승리하여 홍타이지가 죽자 형수를 취하였고 어린 3대황제 순치제 대신 ..

256년을 산 중국인 이청운

[리얼푸드=고승희 기자] 바야흐로 100세 시대에 접어들며 ‘잘 먹고 잘 사는 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100세를 훌쩍 넘겨 장수하는 사람들은 어떤 식습관을 가지고 있을까요? 100세를 넘긴 사람들의 식단은 ‘그들만의 비법’으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지금부터 리얼푸드가 알려드립니다. 현재까지 세계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에 대한 기록은 중국인 이청운(중국명:리칭윤, 李靑雲, 1680~1933)입니다. 무려 256년을 살았는데요. 청나라 황실에서 그의 150세 생일을 축하한다는 공식문서를 보낸 것이 발견되는 등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으로의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심지어 미국 뉴욕 타임즈가 이청운의 장수 비법을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이청운은 1677년에 중국 사천성 츠이 지앙 흐시에서 태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