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삼척 바다와 해변

2023/03 8

소재 노수신 선생님

19년간 유배되었던 진도군에 소장된 노소재 영정 상주시 화서면 사산리에 위치한 소재선생님 묘역 상촌 노숭 영정(노수신의 조상) 역사 도시 상주는 조선시대에 6명의 정승이 상주가 고향이라는 설이 있는데 그 이름은 김동원, 장순손, 김우항, 김자점, 노수신, 유후조 이다. 필자가 40대에 상주의 유명학자 유시완(유성룡 후손)선생님께서 상주 한문 서당을 개설하여 사서 삼경을 배우도록 배려하셨다. 당시 강사 선생님은 90세 정도의 유학자로 상주시 화동면 이소리 마평마을에 거주하시는 오야 장병규선생님이셨다. 오야 선생님은 상주는 6정승이 태어난 곳이라 자주 말씀하셨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유후조 선생님은 확실하고 다른 분은 성주(장순손)와 낙안(김자점), 청주(김우항)출신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김동원 선생님은 ..

오천대감 이종성 일화(조선 영조시대)

* 조선후기 영조때 문신인 이종성 대감의 일화를 재차 올립니다. 이종성(李宗城.1692.숙종 18∼1759.영조 35) 조선 영조때 영의정을 지낸 이종성 대감 초상화 조선 영조 때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고(子固), 호는 오천(梧川). 시호는 효강(孝剛), 뒤에 문충(文忠)으로 개시(改諡)되었다. 항복(恒福)의 5세손이며, 좌의정 태좌(台佐)의 아들. 어려서부터 성리학(性理學)에 힘을 기울였으며, 1711년(숙종 37)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1746년(영조 23) 문과에 급제, 삼사(三司)를 거쳐 홍문관 전한(典翰)으로 국가 재정을 충족케 하여 삼남(三南)의 인심을 수습하는 것이 서북 변경을 튼튼케 하는 대책이라고 진언했다. 왕에게 가납(嘉納)되어 관서암행어사(關西暗行御史)로 내려가 군제..

역사 등 좋은글 2023.03.28 (1)

장령지맥(장령산-가재고개, 옥천)

* 등산경로 - 충북 옥천군 이원면 장찬리 고래마을 장찬저수지 장령각 앞 - 임도 - 장령지맥 - 능선 - 장령산 - 장령정 - 가재고개 - 장찬저수지 * 등산일 - 2023년 3월26일(일) * 등산인 - 문장대 이종하 혼자 * 장령산은 충북 옥천군 군서면과 이원면 사이에 있는 장령지맥의 주산으로 경치가 뛰어나고 유명한 장령산휴양림이 존재하여 대전을 비롯하여 옥천, 금산, 김천, 영동, 보은 등에 사는 인근주민들이 많이 찾는 곳이고 전국의 등산인들이 장령산과 장령지맥을 등산하기 위하여 많이 찾는 명산이다. 장령지맥은 장령산보다 더 높은 대성산이 있지만 무슨 이유가 있는지 잘모르지만 장령산의 이름을 따서 장령지맥이라고 명칭을 얻고 있다. 장령지맥은 식장지맥의 월봉산을 지나고 진산면 만약리 큰고개 거쳐 금..

명산탐방 2023.03.26

난계 김득배 장군 고찰(상주-문경)

난계 김득배 : 1312-1362 고려 공민왕때 충신인 김득배 선생님은 문신이자 무신이다. 난계라는 호는 세종때 충북 영동 심천 출신인 박연 이라는 음악가도 난계의 호를 사용했지만 고려 공민왕때 상주의 김득배 장군도 난계의 호를 사용했다. 상주는 오래된 역사도시로 유명한 인사가 많이 배출 되었지만 고려말 홍건적의 침입시 이를 물리친 공적이 있는 분이 김득배 장군이다. 난계 선생님은 당시 유명한 이성계, 이방실, 김어진, 안우, 정세운 등이 합심하여 홍건적을 물리쳐 나라에 큰공을 새운 분이다. 그러나 간신 김용의 흉계로 억울하게 처형 당했다. 제자로는 유명한 정몽주, 임박 등이 있는데 정몽주에 의해 억울한 죽음이라는 것을 밝히게 되었다. 만고충신이면서도 억울한 죽음을 당한 김득배 장군에 대한 자료는 다음과..

옥천 - 영동 여행지(장계관광지, 장찬저수지, 옥계폭포)

* 충북의 명산을 근래 답사하면서 옥천, 영동, 금산을 상주에서 보은 거쳐 오고 갔는데 옥천은 명산도 많지만 이슬봉 아래의 장계관광지, 장령산아래의 장찬저수지, 영동의 월이산 아래 옥계폭포 3곳의 관광지를 알게 되었다. 상주에서 보은거쳐 옥천으로 25번 도로, 37번 도로, 4번도로를 이동하다 보면 보은군과 옥천면 사이에 있는 장계관광지가 등장한다. 이곳에는 대청호의 풍광도 좋지만 옥천군 향토역사관의 구경이 백미다. 오늘 장계관광지를 충분히 구경하고 영동군 심천면의 옥계폭포로 향했다. 옥천읍 교동에는 육영수 생가와 정지용 생가도 있지만 여러번 방문하여 패싱하고 이후 4번 국도를 따라 영동-김천 방면으로 가다가 원동마을에서 원동 칼국수를 사먹고 조금 더가서 영동의 유명한 옥계폭포를 먼저 답사했다. 옥계폭포..

여행 이야기 2023.03.19

대성산 705m, 덕운봉 599m (옥천군 이원면)

* 산행 경로 : 옥천군 이원면 의평리 의평저수지-작은폭포-꼭지점4거리-641봉-대성산(정상)-다시 641봉-덕운봉-꼭지점4거리-큰폭포 이정표로 하산-절터-선바위-큰폭포-임도-돌의자 쉼터-의평저수지 * 대성산 주변의 마을 : 의평리, 윤정리, 장화리, 강창리, 상곡리, 산인리, 신안리 * 대성산이 있는 우리나라 지역 : 강원 화천군 상서면, 경남 산청군 신안면, 충북 옥천군 이원면, 경북 성주군 용암면, 전남 장수군 번암면, 전남 완도군 청산면, 충남 공주시 반포면. 신안 장산면, 단양 단양읍 등 여러곳임. * 2023년 3월14일(화) 문장대 이종하는 충북 이원면과 충남 금산군 군북면에 걸쳐있는 대성산과 덕운봉을 등산하기 위하여 상주 자택에서 오전7시 30분에 출발하여 보은-옥천을 거쳐 묘목시장이 유명..

명산탐방 2023.03.1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