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삼척 바다와 해변

이안천 걷기

이안천 걷기(우복대감 지은 우곡 잡영20절 발표, 상주시)미완성

문장대 2023. 11. 20. 23:57

진주 정씨 우복 정경세(15631633) 선생이 38세 때 이 고장에 들어와 여생을 지낸 곳으로, 우복동천이라고도 한다. 선생이 선조와 인조 때 성실하게 활동한 것을 치하하여 영조가 남북 10리와 동서 5리의 우복동천 구역을 하사하여 1602년 대산루를 짓고 1603년 별서 기능을 가진 계정을 지었으며 그의 고손자인 주원은 영조가 하사한 사패지에 종택을 지었다. 5대손인 정주원 때부터 대대로 살게 되었다.이 종택은 우복산과 이안천을 낀 전형적인 배산임수에 자리하고 있으며 안채, 사랑채, 행랑채, 사당이 튼 口자형으로 배치된, 종택으로써 갖추어야 할 건축적 요소들을 잘 간직하고 있는 영남지방의 반가이다. 튼 ㅁ자로 배치된 건물은 안채, 사랑채, 행랑채, 사당, 가묘가 남아 있다. 안채는 ㄱ자형으로 부엌ampmiddot안방mpmiddot윗방ampmiddot대청ampmiddot상방으로 구성되었고, 사랑채는 一자형 구조로 사랑방ampmiddot대청ampmiddot건넌방이 배열되어 있다. 집 몸채의 바닥이 마당보다 상당히 높게 자리잡고 있어 특이하다.대산루는 마을 하천을 건너면 널찍한 대지 위에 잡석으로 축대를 낮게 쌓고 자연석 주초에 원기둥의 팔작 기와집으로 단층에 연결하여 2층 누각을 세운 T자형 건물이다.단층집은 정면 4칸, 측면 2칸인데 남편 2칸은 대청이며 내동주가 없고, 북편 2칸은 방이며 퇴마루로 통해서 돌계단을 누각으로 오르게 했다. 누각은 천장 높이의 2층에 온돌 장치를 한 방 1칸과 마루방(서실) 2칸의 대청을 놓았다. 대청 마루 한족 벽에 우곡잡영 이십절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데 내용은 서실, 오봉당, 오노대, 산영담 등 부근 20절경을 예찬한 시구이다.이층 누각으로 올라가 누마루에 서서 동남 쪽 앞을 내다보면 바로 앞에는 낙동강의 상류인 우산천이 흐르고 멀리는 겹겹 산봉이 사방으로 아늑히 둘러 싸여 별세임은 깨닫게 된다. 누상에는 정동교가 쓴 amplt대산루ampgt란 초서 현판이 걸려 있는데 이것은 곧 이 누각을 비롯한 부속건물 일체를 통칭하고 있다. 이 누각은 조선시대에 보기 드문 건축 양식으로 하층은 부엌 장치를 하고 상층은 온돌방으로 만든 점이다. 이러한 양식은 건축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누각 동편에 계정(溪亭)이 있는데 1603년에 세운 창간정의 별명이다. 이곳에 200여 m 떨어진 서편 산 대지에 도존당(道存堂)이 있다. 이 당은 처음 향인들이 서당으로 세운 것을 점차 증축하여 뒤에 우산서원으로 승격하고 우복을 봉향하다가 대원군 때 훼철되어 현재 건물만 남았다. 이 유서 깊은 건물들이 오랜 세월을 지나는 동안 심히 퇴락 되었는데 1978년 정부의 지원을 받아 상주시가 유적을 보수 정화하였다. 한마디로, 대산루와 계정은 우복선생이 개창한 선비의 독서처요 강학당으로 조선후기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선생에 이르기까지 영남의 강학소로 널리 알려진 건축물이다. 출처 -상주시청 홈페이지

우복 종택의 전경입니다. 출처  : 상주시청 홈페이지

 

▲우복 정경세(鄭經世 1563∼1633)선생은 1600년에 시거함으로써 우북산(于北山) 20경이 우산동천(愚山洞天)으로 이름을 얻게된 명지이다. 우복선생의 자는 경임(景任)이요 벼슬은 이조판서 시호는 문장공(文莊公)이  며 조선예학의 종장이다. 특히 우복선생은 우곡잡영이십절(愚谷雜詠二十絶)을  읊어 우산동천의 명승지는 전국적으로 알려졌다. '계정'은 초가로 된 2칸의 초당인데 1603년 건립되고 우복선생이 독서하던 곳이며 대산루(對山樓)는 뒤에 건립 되었는데 자연석 밑돌을 배치하여 둥근 기둥으로 받치고 위층은 방주(方柱)를 한 팔작와가로 단층에 연결한 2층 누각의 T자형의 건물이다. 이 건물은 우복선생이 세우고 뒤에는 후손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선생이 제자들 을 가르치던 강학소로 활용되었다.  도존당(道存堂)은 우복선생이 세운 서원이라고 일컬어지며 정면5칸 측면 3칸 규모의 팔작 기와집으로 도존당 북편으로 ㄱ자형의 고직사가 있다. 이 외에도 우산에는 종택 별묘지 사당 기념비 등이 있다. 한 마디로 계정 대산루 등은 우복선생이 개창한 선비의 독서처요 강학당으로 조선 후기 입재선생에 이르기까지.  영남의 강학소로 널리 알려진 집들이다. 우산리. 우복 선생의 글 ‘우곡잡영이십절(愚谷雜詠二十節)’에 우산천 주변 20경이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대산루(:1山樓). 청간정(聽澗亭). 회원대(懷遠臺). 오봉당(五峰堂). 오로대(五老臺). 상봉대(翔鳳臺). 우화암(羽化岩). 어풍대(御風臺). 만송주(萬松洲). 오주석(熬柱石). 산영담(山影潭). 중륜석(重綸石). 반암(般岩). 화서(花敍). 운금석(雲錦石). 청산촌(靑山村). 쌍벽단(雙壁壇). 화도암(畵圖岩). 공선봉(拱仙峰). 수회동(水回洞). 우복 종택 안채와 주변 건물을 답사하면서 상주시와 상주문화원에서 새워논 한문시비를 7곳 시비를 일부 찾아 촬영하고 올렸으나 아직 11곳의 시비를 못찾아 답사 못하고 올렸습니다. 이시비는 우복선생님이나 후손들이 지은 이근방 명소들의 절경을 한시로 노래한 같아 올렸습니다. 발견하고 촬영하는데로 추가 올리겠습니다. 한시 해설은 한글로 잘했으나 글자 하나하나 토를 달지 않아 모르는 글자가 많습니다. 점차 공부하여 사진 올리고 한자도 해독하도록 노력할게요. (상주시청의 자료실에서 우복 선생님에 관한 글을 복사하여 올렸습니다. 출처-상주시청홈페이지

 

* 우산 종택전부를 답사하고 그 뒷산 앞 개울 등 주변을 답사하면서 보이는데로 촬영한 시비를 올립니다. 빠진곳은 발견즉시 추가하여 올리겠습니다.

 

+ 종택 대청마루 한쪽벽에 우곡잡영 이십절이라는 현판이 결려 있는데 내용은 서실, 오봉당, 오노대, 산영담 등 부근 20절경을 예찬한 시들이다. 앞의 하천은 이안천이 흐르고 전후 주변에는 명승지가 많아 다니면서 한시를 지었다. 그것이 우곡 잡영 20절이다. 전 후로 20수가 있는데 현재 9곳의 한시만 촬영하여 올렸습니다.

 

* 본 시들 20시중 1-2시만 대학이나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왔다면 우복대감은 윤선도나 정철 이상의 유명한 대학자로 현재의 학생들에게 우상이 될 것인데 아쉽습니다.  다행히 조우인의  상주의 매호별곡은 교과서에 나와 대학수능 시험에 출제되고 있습니다. 정우복 대감과 이만부선생님 입재 정종로 선생의 시조문학은 아쉽게 후세들에게 전해지고 있습니다. 

 

안내도를 따라 찾아가보아야 하겠습니다.

 

===================================

* 우곡잡영 20절 - 전 10경 1 서실

 

 

 

* 후 10경 1 계정

 

 

 

 

후10경 2 수륜석

 

 

 

 

후10경 4 화서

 

 

 

 

후10경 5 운검석

 

 

 

후10경 6서실 쌍벽단

 

 

 

 

후10경 8 화도암

 

 

 

* 우곡잡영 20절 후 10경  9 공선봉

 

* 우곡 잡영 20절 후10경  10 수회동

* 정경세선생님의 사위 동춘당 송준길 선생님이 쓴 필적을 추가로 올려 봅니다. 보물 1672호

송준길 행초 동춘당 필적 보물1672호

소 재 지; 경기 성남시 분당구, 대전 유성구

“송준길(宋浚吉) 행초(行草) 동춘당 필적(同春堂筆跡)”은 송준길(宋浚吉, 1606~1672)이 남송 주희(朱熹)의 「학고재명(學古齋銘)」과 장인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의 「우곡잡영(愚谷雜詠) 20절」을 필사한 것이다. 앞쪽에 가지런한 행서로 쓴 <학고재명(學古齋銘)>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서풍을 수용한 면모를 보여주며, 뒤쪽의 <우곡잡영(愚谷雜詠) 20절>은 송준길(宋浚吉)의 전형적인 행초 서풍을 보여준다. 특히 송준길(宋浚吉)이 율곡(栗谷) 이이(李珥) 이래로 김장생(金長生)·김집(金集) 등의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맥을 이으면서도 영남학파 학자였던 장인 정경세(鄭經世)를 통해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학문을 수용하고 글씨까지 따랐던 것은 조선시대 유학사에서 특기할 만하다. 바로 이 서첩이 그러한 면모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로서 송준길(宋浚吉) 노년의 서풍을 대표할 만한 필적이다. 서첩 규모도 크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송준길 행초 동춘당 필적 보물1672-1호

소 재 지; 경기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운중동 490) 한국학중앙연구원

“송준길(宋浚吉) 행초(行草) 동춘당 필적(同春堂筆跡)”은 송준길(宋浚吉, 1606~1672)이 남송 주희(朱熹)의 「학고재명(學古齋銘)」과 장인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의 「우곡잡영(愚谷雜詠) 20절」을 필사한 것이다. 앞쪽에 가지런한 행서로 쓴 <학고재명(學古齋銘)>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서풍을 수용한 면모를 보여주며, 뒤쪽의 <우곡잡영(愚谷雜詠) 20절>은 송준길(宋浚吉)의 전형적인 행초 서풍을 보여준다. 특히 송준길(宋浚吉)이 율곡(栗谷) 이이(李珥) 이래로 김장생(金長生)ㆍ김집(金集) 등의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맥을 이으면서도 영남학파 학자였던 장인 정경세(鄭經世)를 통해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학문을 수용하고 글씨까지 따랐던 것은 조선시대 유학사에서 특기할 만하다. 바로 이 서첩이 그러한 면모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로서 송준길(宋浚吉) 노년의 서풍을 대표할 만한 필적이다. 서첩 규모도 크며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모두 8장으로 성첩되어 있고, 한 면에 3자씩 해서로 남색전지(藍色箋紙)에 묵서로 필사하였다. 내용은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마음가짐과 몸가짐을 서술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마음은 비어 있길 바라고 心要在腔子裏
앉을 때는 진흙으로 빚은 인형같이 하라 坐如泥塑人
당에 오를 때는 소리를 반드시 내며 將上堂聲必揚
문에 들어갈 때는 반드시 아래를 보라 將入戶視必下
발은 삐딱하게 걷지 말며 足毋蹶
옷은 날리지 말라 衣毋撥
태만하거나 황음하지 말며 毋怠荒
종일토록 단정히 하라 終日端

 

 송준길 행초 서증손 병하 보물1672-2호

소 재 지; 대전 유성구 노은동길 126(노은동 523)대전선사박물관

“송준길(宋浚吉) 행초(行草) 서증손(書贈孫) 병하(炳夏)”은 조선중기의 학자ㆍ문신ㆍ명필인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이 송(宋)나라 양시(楊時)의 칠언절구「저궁관매기강후(渚宮觀梅寄康侯)」를 장지(壯紙) 네 장을 이어 붙여 대자 행초로 쓴 것이다. 말미에 “숭정기유청화춘옹서증손병하(崇禎己酉淸和春翁書贈孫炳夏)”라 하여 1669년 사월에 64세의 할아버지가 손자 송병하(宋炳夏)를 위해 써주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서축(書軸)은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 1606~1672)이 남긴 여러 필적 가운데 규모가 제일 큰 대폭으로 손자 송병하(孫炳夏)라는 수증자와 1669년이란 필사연대를 완벽하게 갖춘 예이다. 또 종택에 전해오던 필적으로 보존상태도 매우 양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