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삼척 바다와 해변

전체 글 1017

형제봉 (백두대간 832 비재-늘재)등산기

형제봉 우리나라에 형제봉은 여러군데 있다. 내가 아는 한 백두대간에도 2군데 형제봉이 있다. 지리산과 속리산 천왕봉 주변에 있다. 백두대간 비재로부터 4.4키로에 존재한 형제봉을 오늘 탐방했다. 가을을 맞이하여 문장대를 가는분들이 많아 내 별명인 문장대를 갈려고 항상 생각하던 중 다음카페 농암사랑 모리안님이 안내하신 등반이 10월 25일이다. 또 홀대모(백두대간을 혼자다니는 사람)들의 탐방이 역시 10월25일이다. 다음카폐의 이곳 저곳을 탐방하다가 보았다. 혹시 이런분들과 한번 조우하리라하고 상주를 출발하여 은척 농암을 거쳐 화북 문장대 입구까지 홀로 갔다. 그런데 문장대 입구를 들어서자 마자 관광차와 등산인들의 자가용으로 꽉 차 있다. 과연 단풍철과 휴일에는 명승지답게 인파가 인산인해다. 할 수 없이 ..

작약지맥 2015.10.18

만수봉(983)등산기

만수봉 백두대간에서 조금 떨어진 만수봉은 월악산의 지산이다. 만수계곡도 2군데인데 충북 보은 삼가저수지 근방에 있는 만수계곡과 국립공원 월악산 공원내에도 있다. 주봉인 월악산에 버금가는 산이며 단풍과 계곡은 절경이다. 근방에 대원미륵사지와 하늘재가 있어 더욱 빛난다. 오늘도 인천에서 등산객들이 관광차로 한차와서 등산 중이다. 올봄에 친구따라 왔는데 너무 경치가 좋고 유서 깊은 곳이라 답사를 한번더 하고 싶어 차일 피일 미루다가 올해 단풍이 한창인 10월 중순(10월12일)에 날을 잡아 등산하였다. 계곡에 작은 폭포와 넒은 암반은 100명이 앉아도 되는 넓은 바위위로 계곡물이 흐르니 아직도 이렇게 좋은 계곡은 본적 없다. 요사이 가물어서 물이 좀 덜 흐르는데도 계곡물 소리가 우렁차다. 대야산 용추계곡, 설..

명산탐방 2015.10.12

비봉산(형제봉 531미터)

비봉산 비봉산은 내가 알기로는 의성 비봉산, 진주 비봉산, 선산 비봉산이 있는 줄 안다. 형제봉은 상주화북 갈령재 지나서 천왕봉 가는 형제봉, 지리산 대간길 형제봉, 구미 선산 형제봉이 있다. 그외 비봉산 형제봉은 많은같다. 오늘은 친구의 제의따라 선산읍과 옥성면에 걸쳐있는 비봉산(형제봉)을 등산했다. 중학교 친구의 제의 따라 멋진곳을 구경 시킨다기에 대수롭게 따라갔는데 평소 출퇴근하던 선산읍 옥성면소 앞 주아리 옥성 휴양림으로 간다. 최근에 개발된 휴양림이다. 시설이 멋지다. 옛날에는 이길로 선산장을 보고 다닌 같다. 지금은 오솔길을 만들어놓고, 또 택시정도가 다닐 수 있다. 임도 같기도하고 한데 넘어가면 선산읍 사람들이 찾는 체육공원이다. 형제봉도 500미터 정도이고 등산길이 흙길이니 선산 옥성 어느..

기양지맥 2015.10.07

대미산 등산기(1115미터 2차성공)

대미산2차 오늘은 세계군인체육대회가 열리는날이고 삼성야구가 최하위팀인 케이티와 야구가 열리는 날이다. 대구 시민 구장에서 마지막 경기이니 흥미롭다. 아침에 일어나니 3일전 문경 중평소재 대미산 등산 못한게 너무 맘에 걸린다. 내가 왜 이런 성질을 가진걸까! 다음에 등정하면 될건데 그제, 어제밤 내내 속이 상한다. 문경에서는 제일 높은산이라는 매력 때문일까! 산이 높고 다소 호젓하여 산짐승도 있을법하고, 사람이 통안다니니 무섭고 대낮인데도 명당 무덤이 많아 으시시하다. 백두대간 길이어서 많은 등산인들의 자취가 많은곳이다, 벌재에서 시작하여 황장산 대미산 만수봉 포암산 하늘재 구간이다. 가을 바람 스산하고 어제 비가와서 을씨년스럽다. 사람이라곤 통 없었다. 문경 중평리 박마을 중평분교 폐교에서 산쪽으로 올라..

백두대간 2015.10.02

대미산 등산기

대미산 대미산은 백두대간의 일부로 1115미터이다. 문경에서는 잘알려지지 않은 산이지만 대간꾼들과 등산인들에게는 잘 알려진 산이다. 문경에서는 제일 높은 산이다. 주변에 황장산 황정산 도락산 문복대 수리봉 공덕산 천주봉 등 멋진 산들이 즐비하다. 단양 방곡과 문경 동로주변에 백두대간길이 존재하며 멋진산이많다. 요새는 문경오미자 농원과 휴양펜션이 존재하여 오지의 설음을 극복한 약속의 땅이다. 동로 오미자 축제는 이를 증명한다. 여우목고개는 정말 넘기 힘든 고개인데 이제는 차들이 줄지어 동로와 문경읍을 다닌다. 대미산은 빼어난 경관은 아니지만 앞서말한 대간길이기에 많은 사람들이 찿고싶어한다. 대미산 등산길은 3군데있다. 문경읍에서 동로면 사이에 있는 여우목에서 주차하여 둥글목으로 막아놓은 입산금지 간판뒤로 ..

운달지맥 2015.09.29

팔공산( 1193미터) 등산기2015년 9월 19일 오후 08:31

대구팔공산 팔공산은 대구의 명산이다. 앞산 두류산은 비교적 시내에 위치하나 팔공산은 북동쪽으로 장대하게 자리잡고 있다. 제일 높은 비로봉, 동봉, 서봉 갓바위 등이 있으며 동화사 은해사 부인사 열불암 북지장사 등 고찰도 많다. 6.25때 다부동 전투시 유학산과 같이 낙동강 전선을 구축하여 구국의 전장이다. 대구 시민은 평소는 물론 휴일날 이곳에 와서 4계절 모두 휴양하고 있다. 냉골 휴게소는 대표적이다. 팔공산 케불카 스카이 라인이 설치되어 수많은 사람이 팔공산 중턱까지 올라가서 산과함게 여가선용을 한다. 마치 시장을 방불케하는 시설이 되어 먹거리와 함께 경치를 구경한다. 등산길은 무척 많은데 초보자가 등산하는 길은 3군데다. 케불카스카이라인 승선을 하여 산중턱까지 가면 2.3키로가 동봉이다. 자세히는 ..

100대 명산 2015.09.19

공덕산-대승사(913미터 공덕산을 사불산이라고도함)

공덕산=사불산 대승사는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공덕산(사불산)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사불산의 산마루에는 사면석불상이 있는데, 587년(신라 진평왕) 붉은 비단으로 싸인 이 석불이 하늘에서 떨어져, 왕이 와서 예배하고 이 바위 옆에 절을 창건하고 대승사라 하였다는 창건설화가 있다. 임진왜란 때 전소된 뒤 법당 등 전각을 신축하였다고 한다. 철종 대에 다시 난 불로 명부전과 응진전을 제외한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자 각종 전각을 중건하였고, 1872년 극락전을 중건하였다고 한다. 1956년 또다시 화재로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고 1966년에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오래된 전각은 명부전, 응진전, 극락전에 불과하나 전반적으로 건축물이 전반적으로 우람..

명산탐방 2015.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