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삼척 바다와 해변

역사 등 좋은글

거란의 침입에 고려는 어떻게 대응했나요?

문장대 2023. 12. 24. 15:48

장콩 선생님과 함께 묻고 답하는 한국사카페 1

거란의 침입에 고려는 어떻게 대응했나요?

993년 10월, 거란(요나라)이 80만의 대군을 이끌고 고려로 쳐들어왔어. 거란의 최종 목표는 송이었지만, 먼저 송과 친하게 지내고 있던 주변 세력들을 굴복시켜야 송과 마음 놓고 전쟁을 할 수 있었지. 그래서 거란은 발해 유민이 세운 정안국을 치고, 고려로 쳐들어온거야.

거란 장수 소손녕은 국경 부근의 여러 성들을 함락시키고 사람을 보내 고려에 항복을 요구해 왔어. 이때 고려 정부에서는 많은 관리들이 서경(평양) 이북의 땅을 거란에 내주고 항복하자고 했어.

그러나 서희1)는 달랐어. 그는 일단 거란을 만나 그들의 의도를 파악하고 나서 ‘싸울 것인가, 말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순서라고 하면서 소손녕과 담판을 벌이기 위해 거란 진영으로 찾아갔어.

소손녕이 말했지.

“너희 나라는 신라 땅에서 일어났다. 고구려 땅은 다 우리의 소유인데, 어찌하여 고구려 땅을 엿보는가? 또 우리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데도 바다 건너 송을 섬기고 있다. 이 때문에 우리가 와서 치는 것이다. 지금이라도 땅을 떼어 바치고 사신을 보낸다면 아무 일이 없을 것이다.”

이 말을 듣고 서희가 대꾸했어.

“우리나라는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이다. 그런 까닭에 나라 이름을 고려라 했고, 평양에 도읍을 정했다. 만일 땅의 경계를 따진다면, 당신 나라의 동경(요양)도 우리 땅인데, 어찌 우리더러 침범했다고 말할 수 있는가? 또 압록강 유역의 땅도 우리 것인데, 지금 여진이 차지하고 있어서 서로 왕래가 불가능한 지경이다. 만약 지금이라도 우리의 옛 땅을 되찾으면 어찌 친선 관계를 맺지 않으리요.”

서희의 논리 정연한 말에 소손녕은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었어. 소손녕은 자기 나라 임금에게 보고하여, 고려가 송과 관계를 끊는 대신에 거란으로 가는 길목인 압록강 하류의 동쪽 지역 280리를 고려에게 떼어 주기로 약속하고 철군했어.

고려는 거란의 대규모 침략을 받아 풍전등화의 위기에 빠졌으나, 서희의 담판으로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 않고 압록강 유역에 강동 6주를 설치하게 되었어. 정말 대단했던 서희지. 서희를 위해서 박수 한 번. 짝짝짝!!

그런데 고려는 거란과의 약속을 지켰을까? 아니야. 고려는 거란과 친교를 맺은 이후에도 송과 계속 교류했어. 이러한 고려의 태도에 불만을 가진 거란은 두 차례나 더 침략해왔지.

1011년에는 강조의 정변2)을 트집 잡아 두 번째로 쳐들어왔어. 이때 개경이 함락되기도 하였으나, 양규가 이끄는 고려군이 국경 지대에서 거듭 승리하면서 거란으로 하여금 고려와 타협하게 만들었어.

세 번째 침입은 1018년에 있었어. 이때는 고려군도 거란의 침입에 만반의 대비를 하고 있었기에 소배압이 이끄는 거란군을 곳곳에서 물리치다가 귀주에서 강감찬이 대승을 거두면서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어(1019). 이 전투를 우리는 귀주 대첩이라고 해. 이때 살아 돌아간 거란 군사가 수천 명에 불과했다고 하니, 얼마나 큰 승리였는지를 알 수 있지.

세 번에 걸친 거란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막아 낸 고려는 이제 거란의 압력에서 완전히 벗어났어. 고려는 이제서야 송이나 거란의 눈치를 보지 않고 자주적 입장에서 송, 거란과 동시에 교류할 수 있었어. 바야흐로 고려와 송, 거란 사이에 힘의 균형이 이루어진 것이지. 아무튼 이로 인해 동북아시아는 100여 년간 평화가 계속되었어.

한편 고려는 또 다시 있을지 모를 북방 민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감찬의 건의로 개경 주위에 나성3)을 쌓았어. 또 압록강 하구에서 동해안의 도련포에 이르는 천리장성을 쌓아 국경 수비를 한층 강화했지.

강동 6주서희가 소손녕과 담판을 벌여 얻어 낸 강동 6주는 거란으로 가는 길목인 압록강 하류에 자리 잡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거란의 침입에 고려는 어떻게 대응했나요? (장콩 선생님과 함께 묻고 답하는 한국사카페 1, 2011. 8. 5., 장용준(장콩), 서은경)